빙(BING) 웹 마스터 도구에 내 블로그를 등록해 보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운영하는 검색엔진인 빙(BING)은 MS 엣지 등의 브라우저를 설치하면 기본 검색엔진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사실 검색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극히 미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안되는 검색엔진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검색엔진에 등록할 때 같이 등록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에 등록하는 것과 그 절차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노력이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는 점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한번 등록해 보겠습니다.
빙(BING) 웹 마스터 도구의 웹사이트 주소는 https://www.bing.com/toolbox/webmaster 입니다.
들어가 보게 되면 이미 가입이 되어 있는 분은 로그인을 해서 들어가면 되겠지만, 우리는 처음으로 빙에 등록을 하려고 하니 당연히 계정이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 '가입'을 먼저 클릭해서 사용자 등록을 합니다.
가입은 Microsoft, Google, Facebook의 계정이 있다면 이것을 바로 활용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구글 계정은 대부분 가지고 있을 테니 구글을 활용하시면 되고, 다른 계정을 활용하실 분들은 적당한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빙 웹 마스터 도구는 편리하고 좋은 것이 이미 구글 써치 콘솔에 인증되어 있다면 별도로 인증 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구글 써치 콘솔에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2020/08/14 - [Tech Savvy] - 구글 써치 콘솔(Search Console)에 sitemap을 등록해서 검색을 늘리자
구글 써치 콘솔(Search Console)에 sitemap을 등록해서 검색을 늘리자
지난번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에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해서 검색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봤습니다. 이번에는 전 세계 가장 큰 검색엔진인 구글의 써치 콘솔(Search Console)을 이용�
savvyworld.co.kr
만일 아직 구글 써치 콘솔에 등록하지 않은 상태이고 BING에 사이트를 추가하려고 한다면 아래 화면과 같이 오른쪽에 있는 사이트 수동 추가에 해당 블로그의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먼저, 이미 구글에서 인증받은 정보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가져오기'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내용을 간단히 확인하고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사용하고 있는 (구글) 계정을 선택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허용'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가져오기 위해 분석한 내용이 표시됩니다.
내용을 확인하고 아래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사이트 추가 작업이 완료됩니다.
매우 간단하게 처리가 됩니다.
처리 완료 후 왼쪽 메뉴를 클릭해서 사이트맵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사이트맵이 자동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인 빙의 웹 마스터 도구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다른 글에서 네이버, 구글, 줌 등의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도 정리해 놨으니 함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Tech Sav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L 링크 주소 축소 사이트 bitly (0) | 2021.01.01 |
---|---|
인터스텔라와 허니버터칩 (0) | 2020.11.16 |
'ZUM 사이트 검색등록'에 내 블로그를 등록해 보자 (0) | 2020.08.15 |
구글 써치 콘솔(Search Console)에 sitemap을 등록해서 검색을 늘리자 (0) | 2020.08.14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 등록하기 - 2 (0) | 2020.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