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 등록하기 - 2

Tech Savvy|2020. 8. 14. 12:34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는 방법을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0/08/11 - [Tech Savvy]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 등록하기 - 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 등록하기 - 1

앞서 살펴본 사이트맵과 RSS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이제 내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를 각 포털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020/08/11 - [Tech Savvy] - 개인 도메인의 사이트맵과 RSS를 검색엔��

savvyworld.co.kr

다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https://searchadvisor.naver.com)로 들어간 후 오른쪽 상단에 있는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번에 새롭게 등록하고 본인 확인까지 완료한 블로그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블로그 주소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왼쪽 메뉴 리스트에서 '요청'을 클릭하면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할 수 있는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과 RSS의 등록

 

먼저 사이트맵을 등록해 보겠습니다.

사이트맵의 등록은 왼쪽 메뉴 중 '사이트맵 제출'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오른쪽에 사이트맵의 URL을 입력할 수 있는 란이 표시되는데, 여기에 'sitemap. xml'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상이 없으면 아랫부분의 '제출된 사이트맵' 항목에 지금 등록한 사이트맵이 표시가 됩니다.

 

사이드맵 제출

 

다음으로는 RSS를 등록해 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왼쪽 메뉴 중 'RSS제출'을 선택하면 됩니다.

사이트맵을 제출할 때와 유사하게 'RSS 제출'이라는 화면이 뜨고, 여기에 내 블로그의 RSS 전체 주소를 입력합니다.

입력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랫부분의 '제출된 RSS' 목록에 해당 RSS의 주소가 표시됩니다.

 

RSS 제출

 

이상과 같이 네이버 써치 어드바이저에 사이트맵과 RSS의 등록을 마무리했습니다.

네이버 써치 어드바이저에 등록은 마무리한 후 내 블로그의 상태가 어떤지 확인해 보려면 왼쪽 메뉴 중 '검증'을 클릭해 보시면 됩니다.

검증 > 웹페이지 최적화 클릭 후 오른쪽에 확인을 클릭하면 내 블로그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웹피이지 최적화

 

네이버는 어찌 되었든 간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포털이고 검색엔진이기 때문에 네이버에 가능하면 많은 노출을 위해 필요한 조치는 다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그렇게 한다고 효과가 바로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크게 어려운 방법이 아니니 꼭 사이트맵과 RSS는 등록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

댓글()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 등록하기 - 1

Tech Savvy|2020. 8. 11. 01:34

앞서 살펴본 사이트맵과 RSS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이제 내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를 각 포털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020/08/11 - [Tech Savvy] - 개인 도메인의 사이트맵과 RSS를 검색엔진에 등록하자(f. 티스토리)

 

아무래도 국내에서 가장 큰 포털이 네이버이기 때문에 먼저 네이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등록은 예전에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통해 했는데, 이금이 서치 어드바이저(Search Advisor)로 바뀌었습니다.

 

먼저,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https://searchadvisor.naver.com/)에 들어갑니다.

상단에 있는 "웹마스터도구"를 클릭합니다.

로그인을 하라고 나오면, 본인의 네이버 ID로 로그온 하면 됩니다.

 

웹마스터도구

 

웹마스터도구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기 전에 먼저 내 블로그의 사이트를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은 최대 100개까지 등록이 가능하고, 등록하는 방법은 먼저 '사이트 등록'란에 내 블로그의 주소를 써넣습니다.

 

사이트 등록

 

사이트 등록을 위해 블로그의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본인 소유 확인 페이지가 나오게 됩니다.

위에 등록한 블로그나 웹사이트가 본인 것이 아니고 남의 것을 임의로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방지하고자 사이트의 소유를 명확히 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방법은 두 가지인데 먼저 'HTML 파일 업로드' 방법과 'HTML 태그' 방법이 있습니다.

아쉽게도 티스토리 블로그는 특정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HTML 파일 업로드' 방식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는 우리는 두 번째 방법인 'HTML 태그'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소유를 확인해 줄 수 있습니다.

 

사이트 소유 확인

 

방법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1. 아래 화면에서 HTML 태그 앞의 라디오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2. <meta name = ~~~~>로 되어 있는 부분을 복사한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3. 티스토리 블로그의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간 후 왼쪽 메뉴에서 '스킨 편집'을 선택한다.

4. 오른쪽 상단의 'HTML 편집'을 클릭한다.

5. 아래와 같이 <head> 아래 부분에 복사한 <meta name = ~~~~>를 붙여 넣는다.

6. 오른쪽 상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한다.

 

<head> </head> 사이에 넣기

 

[다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7. 맨 아래 '소유 확인'이라는 녹색 버튼을 클릭한다.

8. 자동 입력 방지 문자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9. 아래와 같은 소유 확인 안내 팝업이 뜨면 사이트 등록이 완료된 것이다.

 

사이트 소유 확인

 

등록된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의 등록은 다음 글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2020/08/14 - [Tech Savvy]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 등록하기 - 2

반응형

댓글()

개인 도메인의 사이트맵과 RSS를 검색엔진에 등록하자(f. 티스토리)

Tech Savvy|2020. 8. 11. 00:14

내 블로그, 또는 블로그의 글이 다른 사람들에게 읽히게 되는 것은 거의 대부분 포털에서 검색에 의한 것입니다.

직접 주소를 알고 방문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크게 기대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내 블로그가 다른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고, 또 여러 포털에서 검색이 잘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블로그 최적화라는 것을 하곤 하는데, 그중에 하나가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해 주는 것입니다.

 

그럼 먼저 사이트맵과 RSS가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이트맵(Site Map)은 일종의 약도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해당 웹사이트를 찾는 사람이 전체 웹사이트의 구조를 알기 쉽게 정리해서 나열한 페이지라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블로그, 검색과 관련해서는 검색 로봇이 내 블로그의 페이지를 쉽게 크롤링할 수 있게 미리 정리해 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해 놨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의 사이트맵

 

다음으로 RSS는 무엇일까요?

RSS는 여러가지 문구의 줄임말로 알려져 있는데,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DF Site Summary의 약자라고 합니다.

어느 것이 맞는지도 중요하겠지만 사실 그 의미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겠죠?

RSS는 기본적으로 자주 바뀌는 웹사이트(예를 들면 언론사 뉴스 페이지나 블로그 등과 같이)의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좀 더 쉽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콘텐츠 배급 포맷을 말합니다. XML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RSS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특정 주소를 제공해 주면, 그 주소를 가지고 있는 RSS 리더에 등록하게 되면, 웹 사이트의 내용이 바뀔 때마다 자동으로 콘텐츠가 RSS 리더 사이드로 전달이 됩니다.

 

 

일일이 필요한 사이트를 찾아다니면서 추가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update 된 내용을 볼 수 있으니 매우 편리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 블로그에서도 RSS를 설정해 놓으면 검색 로봇이 내 블로그에서 바뀐 내용을 쉽게 찾고 가져갈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일 기반으로 내 티스토리 블로그의 사이트맵과 RSS를 각 포털의 검색엔진에 등록해야 하는데 각 포털별로 등록하는 방법이 약간씩 다른 부분 있으니 차근차근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의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이트맵 피일과 RSS를 생성해야 하는데, 예전에는 무료로 제공해 주는 외부 사이트에서 사이트맵을 만들어서 사용하곤 했습니다.

 

https://hsparknow.tistory.com/135

 

티스토리 사이트맵 만들고 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기

나의 홈페이지나 블로그가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 사이트맵을 만들어서 등록해 놓으면 좋습니다. 사이트맵은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검색할 때 이 사이트가 어떤 구조로 되

hsparknow.tistory.com

그러나 지금은 RSS와 사이트맵 모두 티스토리에서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에 예전과 같은 번거로움이 많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이트맵의 주소는 "https://***. tistory.com/sitemap.xml"이고,

RSS의 주소는 "https://***. tistory.com/RSS"입니다.

 

다만, 티스토리를 기준으로 개인 도메인을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의 사이트맵과 RSS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이트맵: https://***.co.kr/sitemap.xml

RSS: http://***.co.kr/RSS

 

이 정보를 가지고 이제 각 포털사이트에 사이트맵과 RSS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