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ETF] 코스닥 대표 ETF, 'TIGER 코스닥150' 시리즈

Invest Savvy|2021. 2. 7. 21:57

지수에 투자하는 다양한 ETF 중 이번에는 코스닥을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스닥을 추종하는 ETF도 몇 종류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ETF는 'TIGER 코스닥150'일 것입니다.

'TIGER 코스닥150'은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와 'TIGER 코스닥150 인버스'도 함께 만들어져 있습니다. 'TIGER 코스닥150'은 'TIGER 코스닥150 레버리지'와 'TIGER 코스닥150 인버스'는 모두 같은 형제라고 할 수 있겠죠.^^

 

TIGER 코스닥150

먼저 TIGER 코스닥150은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코스닥150 지수를 기본으로 만들어진 ETF입니다.

코스닥150 지수는 코스닥 내에서 기술주 섹터와 비기술주 섹터를 구분해서 비기술주별로 6개월 평균 시가총액 기준 누적 시가총액을 60%로 하고 잔여 종목은 기술주 섹터에서 시총 순으로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코스닥 내 업종 별 비중과 주요 구성종목, 즉 PDF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로 헬스케어 업종의 비율이 높으며 헬스케어와 정보기술 업종을 합치면 거의 65%에 육박합니다.

개별종목을 보더라도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이치엘비, 셀트리온제약, 알테오젠, 씨젠 상위 5개 종목이 모두 헬스케어와 관련된 업종입니다. 에이치엘비는 임의소비재로 되어 있지만 제약 및 바이오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헬스케어로 볼 수도 있습니다.

현재 ETF의 규모는 2,549억원 정도이며, 총보수는 0.19%입니다.

코스닥 150 ETF 중 가장 규모가 큰 ETF는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영하는 'KODEX 코스닥 150'입니다.

그러나 보수 면에서는 TIGER 코스닥150이 0.19%이고, KODEX 코스닥150은 0.25%이기 때문에 저렴한 보수를 적용하는 TIGER 코스닥150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둘 사이의 수익률도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KOSPI에 투자하는 것보다 KOSDAQ에 투자하는 것이 좀 더 많은 변동성과 위험을 가질 수 있지만, 역으로 좀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코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적절한 비율로 구성하여 운영하면 좀 더 효과적인 자산배분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위에서 본 것과 같이 코스닥 150 지수는 많은 비중이 헬스케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헬스케어 산업의 전망에 따라 수익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ETF에 대한 공부도 필요하지만 헬스케어 업종의 전망에 대한 공부도 함께 한다면 좀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추천 ETF] 대표적인 코스피 지수 ETF, TIGER 200, TIGER 200 TR

Invest Savvy|2021. 2. 7. 21:17

ETF에 투자한다는 생각을 가졌다면 먼저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은 KOSPI나 KOSDAQ과 같은 지수에 추종하는 ETF를 떠올릴 것입니다.

처음 ETF가 만들어진 것도 인덱스 펀드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것저것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고 귀찮은 경우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면서 투자할 수 있도록 초보 투자자에게 어울리는 상품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장 쉽게, 그리고 먼저 알아볼 만한 ETF는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만든 TIGER 200 ETF와 TIGER 200 TR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IGER 200과 TIGER 200 TR의 구성종목은 동일합니다.

기본적으로 TIGER 200 ETF와 TIGER 200 TR ETF의 구성종목은 모두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OSPI 200 지수를 기초 지수로 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KOSPI에 상장되어 있는 상위 20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위 10개 종목과 그 구성비율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IGER 200 상위 10개 구성 종목

 

TIGER 200 TR은 현금배당이 재투자되도록 만들어진 ETF입니다.

즉, TIGER 200과 TIGER 200 TR의 차이는 KOSPI 200 종목의 세전 현금배당이 재투자되는 것을 가정하여 배당수익률이 가산된 총수익률을 반영하여 산출한 것입니다. 참고로 TR은 Total Return의 약자입니다.

일반적으로 ETF는 배당금 등을 정산하여 분배금이라는 내용으로 다시 배분을 하는데 TIGER 200 TR은 이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다시 ETF에 재투자 한다는 것이죠.

 

아래는 TIGER 200의 분배금과 TIGER 200 TR의 분배금 현황입니다.

TIGER 200의 분배금

 

TIGER 200 TR의 분배금

 

결론은 'TIGER 200' 입니다.

그럼 수익률이 차이는 얼마나 날까요?

아래 보는 것과 같이 TIGER 200의 수익률과 TIGER 200 TR의 수익률이 기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거의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분배금을 받을 수 있는 TIGER 200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TIGER 200의 수익률

 

TIGER 200 TR의 수익률

 

거래대금면에서도 TIGER 200이 TIGER 200 TR 대비 압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ETF 시리즈 중에서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굳이 TIGER 200 TR을 선택할 필요 없이 TIGER 200을 선택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ETF 투자하기] 펀드와 ETF의 차이는?

Invest Savvy|2021. 2. 7. 17:22

보통 ETF를 펀드와 많이 비교합니다.

여러 주식을 모아서 하나의 상품으로 만들어 놓은 점에 있어서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사고파는 방식이나 수수료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펀드와 ETS는 전혀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ETF는 펀드와 개별 주식의 중간 정도? 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그럼 펀드와 ETF의 차이는 어떤 것이 있는지 일반 투자자의 입장에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큰 점은 거래방식입니다.

먼저 ETF의 거래 방식은 일반 주식을 거래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KOSPI 시장에 상장되어 있어서 일반 주식 거래를 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즉 HTS나 MTS를 통해 매매 순간의 시세를 확인하고 주식시장이 개장되어 있는 시간 중에 거래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전에는 ETF의 가격이 떨어지다가 오후에는 다시 올라갈 수도 있고, 반대의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습니다.

이와는 다르게 펀드는 하나의 온전한 금융상품이므로, 해당 펀드를 사게 되면 사는 시간에 따라 그날의 그 펀드의 종가 또는 다음날의 종가를 기준으로 살 수 있게 됩니다.

달리 말하면 ETF는 하루에도 순간순간 그 가격이 계속 변하면서 내가 사거나 팔 가격도 계속 변하지만, 펀드는 하루에 하나의 가격으로만 거래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펀드의 매매는 HTS나 MTS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 증권사 등의 창구에서 직접 하거나, 아니면 온라인 전용 상품인 경우 해당 금융사의 홈페이지 등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매매 형태입니다.

앞의 내용과 비슷할 수도 있겠지만, ETF는 주식을 거래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금액만큼 원하는 때 매매를 하면 됩니다. 즉, 오늘 여유자금이 10만원이 생겼다면, 그 10만원으로 적당한 ETF를 바로 살 수도 있고, 또, 보유하고 있는 ETF의 금액이 100만원이 되었다면 이중 일부를 매도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펀드는 매월 정기적금과 같이 일정한 금액을 자동으로 살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은행의 예금처럼 목돈으로 펀드를 매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내용을 보면 펀드가 좀 더 강제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면에서 장점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좀 더 공부하면서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기에는 ETF가 나쁘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은 수수료 등 비용과 관련된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ETF는 지수를 추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펀드매니저의 판단이나 역할이 많지 않습니다. 대신 액티브펀드의 경우 펀드매니저가 수시로 상황을 판단하고 매매를 하고,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펀드매니저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죠. 따라서 비용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액티브펀드의 수수료가 비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투명성, 또는 정보 공개에 대한 문제입니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3개월에 한 번 정도 운용보고서를 보내주고 있습니다. 다만 이것도 실시간이 아니라 조금 지난 결과, 즉 그동안의 성과에 대한 보고서를 보내주는 것이지요. 여기서 펀드의 규모나 투자 대상, 특별히 이슈가 생긴 점, 펀드매니저 현황 등을 볼 수가 있습니다. 조금 지난 정보로 말이죠...

대신 ETF는 매일매일 해당 ETF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ETF는 PDF에서 매일매일 보유한 종목이 어떻게 되고, 해당 종목의 편입비율이 어떻게 되는지를 공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내 ETF가 주로 어떤 종목에 투자되고 있는지를 투명하게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네이버 증권 페이지나 각 증권사의 HTS나 MTS에서도 ETF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볼 수가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 

 

네이버 증권에서 해당 ETF를 검색하면 일반 개별 주식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볼 수 있으며, 특히 'ETF 분석'이라는 메뉴에서 좀 더 자세한 ETF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

 

ETF의 NVA, 즉 순자산가치의 날짜별 금약도 볼 수 있으며, 여기서 괴리율까지 한번에 볼 수 있어서 그 추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증권

마지막으로 ETF의 구성 종목, 일반적으로는 PDF(구성종목; Portfolio Deposit File)라고 하는데 네이버에서는 CU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예에서 보는 것과 같이 "KODEX 코스피대형주"는 삼성전자가 28.43%, SK하이닉스가 5.29%, LG화학이 4.13% 등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거의 1/3 수준이 삼성전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의 주가 흐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펀드와 ETF의 차이를 간단히 알아 봤는데 요즘 대세는 아무래도 ETF인 것 같습니다.

ETF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면 각 증권사 홈페이지나 ETF를 운영하고 있는 미래에셋대우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등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ETF 투자하기] 성공적인 ETF 투자를 위한 NAV, iNAV 알아보기

Invest Savvy|2021. 1. 21. 23:45

아직 국내 ETF의 종류는 많지 않지만 미국 등 금융 선진국에서는 대단히 다양한 종류의 ETF가 거래되고 있습니다.

좋은 ETF를 선택할 수 있다면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펀드에 투자하는 것보다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ETF도 그냥 준비나 공부 없이 투자를 한다면 많은 위험에 맞닥뜨리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따라서, 좋은 ETF를 찾아 분석하고 연구해서 투자하는 것이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늘리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ETF를 증권사 주식거래 계좌를 통해 거래할 수 있지만, 그전에 ETF에 대해 간단히라도 알아보고 투자할 ETF를 찾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ETF에서 중요한 NAV와 iNA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 해당 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많이 보는 것, 또는 듣는 얘기가 EPS, PER, PBR 등일 것입니다.

EPS는 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을 말하고, PER는 Price Earning Ration, 즉, 주가수익비율을 얘기합니다.

PBR은 Price-Book value Ration로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기업을 분석할 때 쓰는 지표와 같이 ETF가 좋은 ETF인지 그렇지 않은지 분석하기 위해 쓰는 지표 중의 하나가 NAV입니다.

 

NAV는 Net Asset Value의 약자로 '순자산가치'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회사에서는 1년에 한 번씩 성과를 얼마나 냈는지 정리하고 결산을 하는 과정을 통합니다. 이를 통해 자산과 부채를 정리하고, 매출과 이익을 계산합니다.

이와 같이 ETF도 거래가 종료되면 해당 ETF의 자산과 부채를 정리하고 따져 보는데 이와 같은 정산을 통해 ETF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다시 정리하는 과정을 갖습니다. 일반 기업과 다를 점은 이와 같은 일을 매일매일 장이 마감된 이후에 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매일매일 정산을 할 때, ETF가 가지고 있는 자산에서 부채를 뻔 것을 순자산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되어 있는 ETF의 총수로 나눈 값을 순자산가치, 즉 NAV라고 합니다.

이렇게 보면, NAV는 해당 ETF의 한 주의 가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ETF는 주식시장에서 매 순간순간 가격이 변동되면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ETF의 시장가격이라고 합니다.

즉, 모든 ETF는 본질가치를 나타내는 NAV와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가격으로 그 가치를 알아볼 수 있으며, NAV와 시장가치는 서로 다른 금액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NAV는 장이 끝나고 계산이 된 후, 다음날 공지가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HTS나 MTS 등에서 보면 '전일 NAV'라는 항목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ETF는 일반적으로 어떤 기초지수 또는 ETF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의 성과를 따라가도롤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가격도 최대한 해당 지수의 성과를 따라가야 합니다. 그래서, 거래소에서 해당 ETF의 NAV를 거의 실시간으로 알려줘서 현재의 ETF의 가치, 가격을 알 수 있게 알려주는데, 이것을 iNAV라고 합니다.

 

iNAV는 Indicative Net Asset Value, 추청 순자산가치입니다.

이 iNAV를 기준으로 매도호가나 매수호가를 정하면서 거래가 이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그런데 각 증권사의 HTS나 MTS에서는 iNAV라고 쓰는 경우도 있지만 그냥 NAV로 쓰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그 값에 고정되어 있다면, 앞에서 설명한 전일 NAV라고 보면 되고, 값이 변한다면 iNAV라고 확인하면 됩니다.

 

이와 같이 iNAV가 있다고 하더라고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시장 가격은 iNAV보다 비싸기도 하고 싸게 거래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거래량이 적어 유동성이 낮은 경우는 호가의 갭이 넓기 때문에 작은 거래에도 범위를 벗어나는 가격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시장가격이 NAV 보다 높으면 할증된 거래라고 하고, NAV보다 낮게 거래되면 할인된 거래라고 하며, 할증 또는 할인되는 정도를 '괴리율'이라고 합니다.

ETF의 특성을 생각해 보면 이와 같은 괴리율이 큰 ETF는 좋은 ETF가 아니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주의할 것은 ETF는 일반 주식과 달리 해당 ETF 자체가 향후 성장 가능성이 있어 시장 가치보다 높게 평가되고, 앞으로의 전망이 불투명하여 할인되어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ETF의 할인과 할증은 향후 해당 ETF의 전망과는 아무 상관없는 값이고 NAV를 통해 참조해야 할 것은 현재 거래되는 시장가격이 ETF의 가치와 얼마나 괴리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요즘의 ETF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것도 있지만, 특정 테마로 구성된 ETF도 많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ETF에 투자할 때 해당 ETF의 NAV, iNAV 등과 괴리율 등을 함께 조사해 보면서 투자한다면 좀 더 성공적인 투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